목록개발/it지식 (5)
원하는 것은 뭐든지
깃헙블로그를 띄우는 과정을 담아보겠습니다. 일단 깃헙에 가입을 하고 깃헙 레포지토리 생성을 해야 합니다. 1. 레포지토리 생성 ① username.github.io 처음에 username에 owner가 아닌 제 임의대로 적었다가 안되어서 owner를 적어서 새로 생성하니 바로 되더라고요. 물론 하는 방법이 있겠지만 그게 목적이 아니니 owner를 그대로 적는 걸 추천드립니다. ②public으로 해주시고 ③README 파일을 추가해주시고 레포지토리를 생성해 주시면 됩니다. 2. git clone 원하는 폴더에 git clone을 해주시면 됩니다. HTTPS 주소를 복사해 주고 clone 하시면 레포지토리 폴더가 생성됩니다 처음에 띄워줄 index.html을 생성해 줍니다. 저는 이미 만들어둔 게 있어서 삭..
웹 개발을 하면서 듣고 싶지 않아도 어쩔 수 없이 듣게 되는 GET, POST 정확히 무엇인지 인지하고 있는 게 좋을 것 같아 찾아보았다.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보낼 때 HTTP를 통해 보내게 되는데 HTTP 메소드에 크게 두 가지 있는데 그것이 GET과 POST다. 내가 처음에 이해한 것은 이와 같다. GET은 URL에 값이 적혀서 전달된다. POST는 submit()을 통해 전달된다. 이렇게만 알고 있어도 프로그래밍하는데 불편한 점은 없었기 때문에 넘어갔지만 이제 제대로 한번 이해해 봐야겠다. 1. GET방식 네이버에 get을 검색해보면 1. 받다 2. 얻다, 구하다, 마련하다 등의 뜻으로 사용되는데 단어 뜻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원하는 정보를 가져와서 조회하기 위해 사용한다. 음.. SQ..
수업을 2개월 정도 들었는데 아직도 웹개발이 무엇이냐 하면 할말이 없다는 것에 충격을 받고 바로 검색했습니다.. 창피하네요 뭐를 배우고 있는지도 몰랐어요 저는 반성합니다.. 간단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알아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웹개발이란? 우리가 좋아하는 즐겨사용하는 웹사이트들을 생각해보자. 그게 검색 엔진이든 youtube든 모두 웹 개발자가 웹 개발을 하여 만든 사이트이다. 웹개발은 프론트엔드(클라이언트 개발) 백엔드(서버 개발) 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여기에 데이터베이스 까지 얹어지면 완벽합니다. 클라이언트 개발 위에서 언급했던 사이트들을 우리는 어디까지나 사용자로서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유저','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 안에서 웹 서버로부터 받아온 파일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자주 쓰이는 ..
이번엔 어제 막 배운 HTML이다. HTML은 인터넷 서비스의 하나인 World Wide Web(WWW)를 통해 볼 수 있는 문서를 만 들 때 사용하는 마크업(MarkUp)언어이다. 마크업언어는 문서의 글자크기, 색상, 모양, 글 문단이나 표도 만들어 웹 상에 보여주는 것을 다루는 언어를 말한다. 태그(tag)명령어로서 홈페이지 작성 시 사용하며 하이퍼텍스트를 지원하고 우리가 대부분 인터넷에서 접근할 수 있는 웹 페이지들은 HTML로 작성된다. (가장 쉬운 프로그래밍 언어라는 말도 있다.) HTML 문서의 기본구조는 다음과 같다. 가장 크게 로 시작해서 로 끝난다. 그 사이에 있는 는 문서의 제목이나 머리말 는 실질적인 코딩을 하는 곳이다. HTML 태그의 기본 특징 1. 태그는 일반 글자와 구분하기 위..